Artist Rorang Story

좋은 글

윤석열 대통령 탄핵: 계엄령에서 파면까지, 4개월의 기록

Rorang2 2025. 4. 6. 18:36

By 대한민국 국회, KOGL Type 1,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56664385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대한민국 정치사에 큰 족적을 남긴 사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2024년 12월 14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이 가결되며 직무가 정지되고,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소의 만장일치 결정으로 파면된 이 사건은 헌정사상 세 번째 대통령 탄핵 사례로 기록됐어요. 이 글에서는 탄핵의 배경, 주요 사건, 절차, 그리고 그 여파를 간략히 정리해볼게요.

 

●계엄령 선포: 탄핵의 도화선

모든 시작은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20분경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국민담화를 통해 "종북세력을 척결하고 자유 헌정질서를 지키기 위해" 비상계엄을 선포했어요. 갑작스러운 발표에 국민은 충격에 빠졌고, 군과 경찰은 국회의원들의 본회의장 진입을 막으려 했죠. 이 과정에서 국회의원, 경찰, 시위대, 보좌진 간 충돌이 벌어졌지만, 본회의장에 모인 190명 의원 전원이 계엄령 해제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며 상황은 급반전됐어요. 결국 12월 4일 새벽 4시경, 계엄령은 선포 6시간 만에 철회됐습니다.

이 짧지만 강렬한 계엄령은 정치적 파장을 일으켰어요. 야당은 이를 "헌법과 민주주의 파괴 시도"로 규정하며 즉각 탄핵을 추진했고, 여당 내부에서도 혼란이 커졌죠. 이 사건이 탄핵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됐습니다.

 

두 번의 탄핵소추: 1차 불발, 2차 가결

탄핵 절차는 헌법 제65조에 따라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200명) 이상 찬성으로 소추안이 가결돼야 진행됩니다. 첫 번째 시도는 2024년 12월 4일, 야당 6개와 무소속 의원 191명이 소추안을 제출하며 시작됐어요. 12월 7일 표결에서 야당은 전원 찬성했지만, 국민의힘 의원들이 안철수 의원을 제외하고 집단 퇴장하며 투표가 불성립(195표)으로 끝났죠.

그러나 국민의 분노와 시위가 거세지자, 12월 12일 2차 탄핵안이 발의됐습니다. 이번에는 "내란 지시"와 "거부권 남용" 등 구체적 사유가 추가됐고, 12월 14일 표결에서 찬성 204, 반대 85, 기권 3, 무효 8로 가결됐어요. 국민의힘 내 이탈표가 1차 3표에서 23표로 늘어난 점이 결정적이었죠. 우원식 국회의장은 즉시 헌법재판소에 소추 의결서를 전달하며 심판 절차가 시작됐습니다.

 

●헌법재판소 심판: 8인 만장일치 파면

헌법재판소는 탄핵 사건을 180일 내 처리해야 하며, 파면 결정에는 재판관 9명 중 6명 이상 찬성이 필요해요. 당시 재판관 3자리가 공석이라 6인 체제였지만, 중대성을 고려해 "7인 이상 심리" 규정을 임시 정지하고 심리를 진행했죠. 2025년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문형배 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선고에서 8인 전원이 "헌법수호 의무 위반"을 이유로 파면을 결정했어요. 이는 노무현(2004년, 기각), 박근혜(2017년, 인용)에 이어 세 번째 사례이자, 두 번째 파면 사례입니다.

심판 과정에서 윤 대통령 측은 "계엄령은 경고성 조치였다"고 주장했지만, 헌재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어요. 국회와 선관위에 군 투입, 포고령 발령 등은 명백한 위헌·위법 행위로 판단됐죠. 이로써 윤석열는 취임 1,060일 만에 직을 잃었고, 한덕수 국무총리가 권한대행을 이어가며 60일 내 조기 대선을 준비하게 됐습니다.

 

●탄핵을 둘러싼 국민의 목소리

탄핵 과정에서 국민 여론은 극명히 갈렸어요. 찬성 측은 2024년 7월 백만 명이 넘는 탄핵 청원, 11월 3,000여 명 교수 서명, 천주교 신부 1,466명 성명 등으로 지지를 표했죠. 반면, 전광훈 목사 등이 주도한 반대 집회도 대규모로 열렸고, 이들은 언론의 편파 보도를 비판하며 계엄령의 불가피성을 강조했어요. 서울 도심은 찬반 집회로 연일 뜨거웠습니다.

 

경제적 여파: 환율과 시장의 혼란

계엄령 선포 직후 원/달러 환율은 1,446원까지 치솟으며 15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어요. 미국 증시 한국 ETF는 2.7% 급락했고, 암호화폐 시장은 패닉셀로 3040% 폭락 후 회복되는 혼란을 겪었죠. 계엄 해제 후 환율은 1,4101,420원대를 유지했지만, 1차 탄핵 불발과 2차 가결 후 1,453원까지 오르며 경제 불안이 지속됐어요. 이는 기업과 국민 모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174110